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Saint Saens - Piano Concerto No. 2 in G minor op. 22 (피아노 협주곡 제2번 G단조) ~ Arthur Rubinstein/Philadelphia Orch(Eugene Ormandy, cond)
    ◆ 추천레코드/┗⌒Classic 2016. 3. 7. 03:37

     

     

     

     

     

    Arthur Rubinstein - Saint-Saëns, Piano Concerto No.2 in G minor, Op.22

       

     

     

     

     

     


    생상스

    생상스

    피아노 협주곡 2번

    G단조 op. 22

    Piano Concerto No. 2

    in G minor, Op. 22

     

    생상스는 이 작품을 1868에 작곡/초연했다.
    나이 20세에서 61세에 이르는 동안 총 5개의 피아노 협주곡을 작곡하는데,
    이 두번째 협주곡은 러시아 피아니스트/작곡가/지휘자 안톤 루빈스타인

    (위 피아니스트 아르뛰르 루빈스타인과 다른)이
    파리 콘서트를 부탁할 때인 1868년 봄에 급히 쓰여졌다.

     

    살레 플레옐의 예약이 너무나 꽉차있어 3주동안의 추가예약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생상스는 새로운 장소에 맞춘 새로운 곡을 쓰겠다고 제안하게 된 것이다.
    5월 6일, 루빈스타인의 지휘아래 이 두번째 협주곡을 선 보였지만 그리 성공적이진 못했다.

    충분히 연습할 시간도 없었고, 일부의 청중은 스타일리스틱한 스윙에 질렸다한다
    -피아니스트, Sigismond Stojowski의 그달의 평에 따르면, '바하에서 오펜바흐까지'-

     

    구성

     

    I. Andante sostenuto

    그 당시 생상스의 제자였던 포레가 본인이 작곡한 '성체께 대한 성가'를 보여준다.
    생상은 휙 훝어보더니 말한다.
    "이걸 날 줘. 이것으로 뭔가를 만들 수 있을 것 같아!".
    이렇게 해서 탄생한 것이 새로운 버전의 피아노 협주곡 G단조 제1악장의 첫번째 테마,
    흡사 일을 출발 시키기 위하여 바하 스타일의 즉흥연주로 시작되는 테마이다.
    뒤를 잇는 생상 자신의 부-테마는 보다 젊잖은 쇼팽의 취향을 느끼게 하는데,
    특히 3도 음정의 키보드 연주가 그러하다.

     

    II. Allegro Scherzando

     

    오프닝 그리고 피날레 악장처럼, 그 사이의 제 2악장,
    Allegro scherzando는 소나타 형식으로 쓰여졌다.
    비록 두번째 테마가 20년후의 '동물의 사육제'를 연상시키지만
    분위기는 더없이 멘델스존의 스타일같이 앙증맞다
    -생상스의 오래걸려 끝낸 그리고 아직도 출판하지 못한 두번째 심포니에서 처럼-

     

    III. Presto
    피날레는 2/2 박자(?)의 프레스토 타란텔라로서 G단조의 조성??35년전,
    멘델스존이 심포니 '이탈리안'을 끝내면서 단조 키의
    타란텔라로 끝낸 것을 연상시킨다.


    초연때의 프랑스 청중들이 반응에도 불구하고
    - 파리사람들은 비엔나인 처럼 분통이 터질정도로 천박해졌다 -,
    리스트는 거침없이 평가하기를

    ' 이 곡은 독특하게 나를 기쁘게 하는군'.
    리스트가 선견지명이 있어서가 아니라 리스트의 평가처럼
    곧 파리 사람들도 처음부터 이 곡을 사랑했음을 알게된다.

     


     

    타란텔라: 어원은 이탈리아 남부의 도시 타란토에서 유래한 것이라는 설과
    독거미(이탈리아 남부에 서식) 타란튜라에 물리면

    이 춤을 추게 된다는 데서 온 것이라는 설이 있다.

    1∼2명의 여자와 1명의 남자가 추는 것이 통례로 되었으며 고전발레

    《백조의 호수》 제3막과 브르논빌의 《나폴리》 등에도 이 무용이 인용되고 있다.

    무곡은 3박자나 6박자계의 아주 빠른 템포이며

    장조와 단조가 서로 교대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19세기 중엽, 예술음악으로서 자주 작곡되었으며
    특히 리스트, 쇼팽, 베버 등에 의한 예술음악작품은 널리 알려졌다.
    최근의 연구에서 타란텔라는 원래 이탈리아와 에스파냐에서의

    일종의 검무(劍舞)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생 상스

    Charles Camille Saint-Saëns

     

    1835. 10. 9 프랑스 파리~ 1921. 12. 16 알제리 알제.

    프랑스의 작곡가.

    교향시(프랑스 작곡가로는 최초로 이 장르의 곡을 썼음)와 오페라

    〈삼손과 데릴라 Samson et Dalila〉 등으로 유명하다.

    프랑스 음악을 위해 많은 노력을 했고, 재능있는 피아니스트 겸 오르간 연주자였으며,

     비평·시·수필·희곡을 쓰기도 했다.

    협주곡과 교향곡은 리스트의 양식을 프랑스의 전통적인 화성과 형식으로 옮긴 것으로

    교향곡 3번이 자주 연주된다.

     

    피아노의 신동이었던 그는 1846년 최초의 리사이틀을 가졌으며,

    파리 음악원에서 피아노와 오르간을 공부했고, 1855년 교향곡 1번이 초연되었다.

    1857년 유명한 파리의 마들렌 교회 오르간 연주자가 되었고 20년 이상 이 직위를 지냈다.

    이무렵 프란츠 리스트를 만나게 되어 지속적인 친교를 맺었으며,

    그로부터 세계 최고의 오르간 연주자라는 평가를 받았다.

    1861~65년에 니데르메이어 학교의 피아노 교수가 되었고,

    가브리엘 포레와 앙드레 메사제같은 제자를 키웠다.

     

    1871년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후 프랑스 국민음악협회를 창시하는 데 앞장섰는데,

    이 단체가 다음 세대의 프랑스 작곡가들의

    중요한 관현악 작품을 연주하게 촉진하는 역할을 했다.

    그해 최초의 교향시 〈옹팔의 물레 Le Rouet d'Omphale〉가 작곡되었는데,

    이 작품은 〈죽음의 춤 Danse Macabre〉과 함께

    그의 교향시 4곡 가운데 가장 자주 연주되는 작품이다.

     

    〈삼손과 데릴라〉는 성서 인물을 편향되게 그렸다는 이유 때문에

     파리에서의 공연이 거부되어, 리스트의 주선으로

    1877년 바이마르에서 독일어로 초연되었다.

    이 작품은 1890년에야 파리 에댕 극장에서 공연될 수 있었고,

    후에는 그의 가장 인기 있는 오페라가 되었다.

     

    1878년 생 상스는 아들을 잃었으며 3년 후에는 부인과도 이혼했다.

    이후 몇 년 간 그는 유럽 전지역과 미국·남아메리카·중동·동아시아 지역을 계속 여행하며,

    자신의 5곡의 피아노 협주곡, 그외의 건반음악, 교향시들을 연주하고 지휘했다.

    피아니스트로서도 그는 바그너로부터 화려한 기교의 소유자로 인정을 받았으며,

    마르셀 프루스트의 연구대상이 되기도 했다.

     

    1880년 무렵부터 세상을 떠날 때까지 극음악과 기악음악 분야에서 많은 작품을 쏟아냈다.

    교향곡 3번(1886)은 리스트를 추모하면서 그에게 헌정한 것으로

    오르간과 2대의 피아노를 능숙하게 사용하고 있다.

    같은 해 소규모 관현악단을 위한 〈동물의 사육제 Carnaval des Animaux〉를 썼다.

    이 작품은 유머러스한 환상곡으로 생전에는 연주되지 못했으나

    죽은 뒤 젊은이들의 연주회용 작품으로 커다란 인기를 얻게 되었다.

     

    후기의 작품 가운데 최고의 걸작은 피아노 협주곡 5번(1895)과 첼로 협주곡 2번(1902)이다.

    그가 살았던 시절은 바그너가 영향력을 크게 행사하던 시절이었으나,

    그는 별 영향을 받지 않고 고전적 모델을 고수했으며,

    세련된 장인정신과 형식감을 강조하는 프랑스 음악의 전통적 관념을 견지했다.

    겸손하지만 풍자적인 문체를 보이는 그의 글과 일기는 당대의 음악 실상을 그리고 있다.

     

    -브리태니커-

     

     

     

     루빈스타인

     유진 오먼디

Designed by Tistory.